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스웰리아는 믿을만 한가

by 훔두유 2024. 6. 26.
반응형

보스웰리아(Boswellia)는 인도, 아프리카, 중동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의 수지에서 추출된 천연 성분입니다. 전통적으로 아유르베다 의학에서 항염증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들어 보스웰리아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일부 연구 결과는 긍정적입니다.

보스웰리아의 주요 효능 및 과학적 근거

  1. 항염증 효과:
    • 보스웰리아는 5-LOX(5-lipoxygenase) 효소를 억제하여 염증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일부 연구에서는 보스웰리아 추출물이 류마티스 관절염 및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
  2. 통증 완화:
    • 임상 시험 결과,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복용한 환자들이 플라세보 그룹에 비해 통증 완화 및 관절 기능 개선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3. 장 건강:
    • 보스웰리아는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보스웰리아가 장벽 기능을 개선하고 염증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합니다 .

신뢰성과 안전성

보스웰리아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모든 보충제와 마찬가지로 신뢰성과 안전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1. 부작용:
    • 보스웰리아는 일반적으로 잘 견디는 편이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위장 장애, 메스꺼움, 설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품질 관리:
    • 보충제의 품질은 제조사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의사와 상담:
    • 특히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 기존에 질병이 있는 사람, 또는 다른 약물을 복용 중인 사람은 보스웰리아 보충제를 복용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결론

보스웰리아는 항염증 및 통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충제를 선택할 때는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를 선택하고, 개인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현재까지의 과학적 근거는 보스웰리아가 일부 염증성 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References:

  1. Ammon, H. P. T. (2010). Boswellic acids i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Planta Medica, 76(11), 1100-1116.
  2. Sander, O., Herborn, G., Rau, R. (1998). Is H15 (resin extract of Boswellia serrata, "incense") a useful supplement to established drug therapy of chronic polyarthritis? Results of a double-blind pilot study. Zeitschrift für Rheumatologie, 57(1), 11-16.
  3. Sengupta, K., Alluri, K. V., Satish, A. R., Mishra, S., Golakoti, T., Sarma, K. V., & Raychaudhuri, S. P. (2008). A double blind,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study of the efficacy of Boswellia serrata extract in the management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Phytomedicine, 15(6-7), 393-402.
  4. Gerhardt, H., Seifert, F., Buvari, P., Vogelsang, H., Repges, R. (2001). Therapy of active Crohn disease with Boswellia serrata extract H15. Zeitschrift für Gastroenterologie, 39(1), 11-17.
반응형